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워크플로
- 구현
- unityui
- 프로그래머스
- c#
- C++
- Unity3d
- 문자열
- 유클리드호제법
- QueryDSL
- 포톤
- Photon
- Firebase
- 이분탐색
- 언리얼엔진
- BFS
- Unity
- 내일배움캠프
- 유니티
- 순열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TIL
- 해시
- UE4
- Inventory
- FSM
- 알고리즘
- UnrealEngine
- 스택
- Unity2D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Today
- Total
목록Java (104)
개발 낙서장

테스트의 필요성 위 그림은 버그를 발견한 시간이 늦어질 수록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그래프이다. Development(개발) 단계에서 발견하면 최소 비용, Unit Tests(단위 테스트) 단계에서 발견하면 중간 비용, QA Testing(QA 테스팅) 단계에서 발견하면 큰 비용, Production(실 서비스 운영 환경) 단계에서 발견하면 매우 큰 비용이 발생한다. 모든 코드는 버그가 발생할 수 있고 그러기에 테스트는 반드시 필요하다. 테스트 코드 테스트 코드란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동작을 테스트하는데 사용되는 코드이다. 어떠한 서비스를 개발했을 때 테스트하기 위해 작성하는 코드이며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테스트 코드의 종류로는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사용자 인수..

오늘의 학습 키워드📚 DTO와 Entity https://dachomi97.tistory.com/108 [Spring] DTO와 Entity DTO와 Entity 분리 Entity는 실제 DB에 매칭되는 클래스이다. 그래서 서버에서 Entity의 값을 수정함에 따라 실제 DB의 값도 변경된다. 이러한 Entity를 서버 이외의 곳에서도 다루게 되면 데이터 변조의 dachomi97.tistory.com 오늘의 회고💬 팀 과제가 끝났다. 본격적으로 스프링을 다루고 Security 부분까지 하다보니 상당히 어려웠던 주차였지만 그래도 잘 끝내서 뿌듯하다. 내일의 계획📜 내일부터 새로 팀이 바뀌고 스프링 심화 주차에 들어가게 된다.
DTO와 Entity 분리 Entity는 실제 DB에 매칭되는 클래스이다. 그래서 서버에서 Entity의 값을 수정함에 따라 실제 DB의 값도 변경된다. 이러한 Entity를 서버 이외의 곳에서도 다루게 되면 데이터 변조의 위험이 생긴다. 그래서 DTO라는 클래스에 필요한 정보를 담아 요청, 응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DTO란 Entity에 있는 정보들 중 각 요청, 응답에 맞게 필요한 정보들을 골라 담는 클래스이다. 예를 들어 User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하면, 로그인을 할 때 User 전체 정보를 요청받을 필요가 없이 로그인에 필요한 ID, 비밀번호만 받으면 되는데 DTO가 없다면 User 전체 정보를 받고 비교해야 한다. 하지만 ID, 비밀번호 정보만 갖고 있는 LoginDto라는 클래스를 만들어 ..

오늘의 학습 키워드📚 Filter 처리 Filter는 Spring에서 요청이 DispatcherServlet으로 가기 전에, 응답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거치는 거름망 역할을 한다. 즉, 모든 요청과 응답은 반드시 Filter를 거치게 돼있다. (예외는 있는데 setFilterProcessesUrl을 통해 특정 API 혹은 URL만 해당 Filter를 거치게 할 수 있다. 어쨌든 어떠한 요청이든 Filter를 거치게 돼있다.) 이번 팀 프로젝트를 구현하면서 유저의 인증과 인가 처리를 Filter에서 하기로 했는데 한 가지 문제가 발생했다. 분명 사전에 로그인, 회원가입 등의 API는 접근 권한을 허가를 해줬는데 자꾸 회원가입을 할 때도 403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다. 403 에러? 해당 요청에 접근할..

오늘의 학습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https://dachomi97.tistory.com/105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한 마디로 데이터의 집합 혹은 데이터의 저장소이다. 목적에 따라 저장소를 만들고 그 안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이다. mysql에서 show databases; 커맨드를 입력하면 dachomi97.tistory.com 오늘의 회고💬 연휴를 보내고 나니 집중하기가 너무 힘들었다😂 내일의 계획📜 내일은 팀 과제를 마무리하고 시간이 남으면 AWS를 활용해 배포하는 연습을 해볼 것이다

✅ 데이터베이스? 한 마디로 데이터의 집합 혹은 데이터의 저장소이다. 목적에 따라 저장소를 만들고 그 안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이다. mysql에서 show databases; 커맨드를 입력하면 내가 생성한 DB들을 볼 수 있다. 이렇게 DB를 생성하고 그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 DBMS? 그렇다면 DB를 조작할 무언가가 있어야 하는데 DBMS가 그 역할을 한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DB는 한 사람, 한 컴퓨터에서 이뤄지지 않는다. 수많은 사람이 수많은 컴퓨터를 통해 DB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고 수정하고 삭제한다. 이런 동시 접속 및 데이터 공유를 가능케 해주는게 DBMS이다. 은..

오늘의 학습 키워드📚 Git 협업 시 발생하는 에러들 해결 https://dachomi97.tistory.com/103 [Git] merge 에러 Please enter a commit message to explain why this merge is necessary, especially if it merges an updated upstream into a topic branch 원격 브랜치에서 pull해와서 다른 브랜치로 merge를 시도할 경우 발생하는 에러 메세지이다. dachomi97.tistory.com https://dachomi97.tistory.com/102 [Git] pull 에러 팀 과제를 진행하면서 merge된 branch를 pull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했다. error: Yo..

오늘의 학습 키워드📚 팀 과제 회의 사실 오늘은 하루 종일 팀 과제에 대해 회의를 하느라 딱히 학습한 내용이 없다. 다만 기획 단계부터 API 설계, ERD 설계, 역할 분담, Git Rule 등 여러 부분에 대해 얘기를 나누면서 팀 간 의견을 조율하고 아닌 부분은 고치고 몰랐던 부분은 수용하는 등 팀워크 능력과 화합 능력을 기른 것 같다. 오늘의 회고💬 회의가 생각보다 길어졌다. 설계하다보니 이것저것 추가되고 수정되는 부분이 생겨서 저녁시간까지 회의를 했는데 꽤 재밌는 시간이었다. 물론 회의하느라 따로 공부한 건 없지만 어떻게 매일 공부만 하겠는가 😁 내일의 계획📜 본격적으로 팀 과제가 시작됐다. 열심히 해서 빨리 끝내야지